본문 바로가기
국내 및 해외여행기/2016년도

평택해군기지 안보공원 둘러보기

by 전태공 2016. 5. 7.

평택해군기지 안보공원 둘러보기

 

 

○ 참수리 고속정 357호

 

 

연평해전 당시 활약했던 참수리 고속정 357호와 천안함이 전시되어 있는

평택 해군 제2함대사령부 안보공원을 찾아 나선다.

 

 

 

 

서해안고속도로 서평택 인터체인지를 빠져 나와

해군 제2함대사령부 정문 앞에서 좌회전하니 행정 안내실이다.

 

 

 

[견학안내도]

 

 

첫 번째 견학시간인 오전 10시 정각에 안내실 앞을 출발한 해군 버스가

5분 만에 "서해수호관" 앞으로 데려다 준다.

 

 

[서해수호관]

 

 

“서해수호관” 앞에는 연평해전 당시 침몰되었다가 인양되었던

참수리 고속정 357호가 원형 그대로 전시되어 있다.

 

 

[참수리고속정 357호]

 

 

참수리고속정 좌현에 선명하게 남아있는 수많은 총탄자국들이

연평해전 당시의 치열했던 교전상황을 생생하게 증언해주고 있다.

 

 

[좌현에 남아있는 총탄자국]

 

 

홍보 담당, 해군 상병 하나가 북방한계선(NLL) 연평도 근해에서

남북 해군 간에 벌어졌던 1,2차 연평해전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해준다.

 

 

[홍보안내병 해군상병]

 

 

1999년 6월 15일 북한 경비정 7척과 우리 해군 간에 벌어졌던 1차 해전에서

 

북한해군은 어뢰정 1척이 격침되고 5척이 반파된 상태로 퇴각했으며

우리 해군은 고속정 5척이 경미한 손상만 입었다고 한다.

 

 

[1차 연평해전도]

 

 

그러나 터키와의 월드컵 3,4위전이 벌어지고 있던 2002년 6월 29일

 

 

[2차 연평해전도]

 

 

북한경비정을 향해 접근하던 우리 해군 참수리 고속정 357호에 대해

북한이 기습적인 집중사격을 가하면서 2차 연평해전이 시작되었고

 

 

[고속정 357호 부정장 안지영대위의 방탄조끼]

 

 

우리 해군은 참수리 357호와 358호가 대응사격을 개시하면서

인근에 있던 제천함과 진해함 및 참수리급 고속정 4척이 추가 투입되어

 

 

[한국해군이 사용한 총포탄류]

 

 

쌍방 간에 벌어졌던 약31분 동안의 치열한 교전결과

북한은 초계정과 경비정 각1척이 반파된 채 북으로 도주했다고 한다.

 

 

[북한해군이 사용한 총포탄류]

 

 

그러나 북한 경비정으로부터 기습 공격을 받았던

우리 해군 참수리급 고속정 357호가 침몰되었고

 

 

[인양되는 357호]

 

 

아쉽게도 고속정 357호 정장이었던 윤영하 소령을 비롯해

 

 

[윤영하소령의 유품]

 

 

한상국·조천형·황도현·서후원 중사와 박동혁 병장 등

6명의 해군 장병들이 전사했고 18명이 부상하고 말았단다.

 

 

[서후원중사의 유품]

 

 

북한 역시 약 30여 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였다고 하는데

 

 

[인양된 357정 소총]

 

 

우리 정부에서는 그동안 "서해교전"으로 불려왔던 이 전투를

2008년 4월 "제2연평해전"으로 새로 명명하고

 

추모행사를 국가보훈처가 주관하는 정부기념행사로 승격시켰다고 한다.

 

 

[357정 승조원 명부]

 

 

참수리 고속정 357호가 내려다보이는 서해수호관 2층 유리창에 새겨진

당시의 357정 승조원 명부를 보니 숙연한 마음이 밀려든다.

 

 

 

 

그동안 우리 해군에서는 윤영하소령 등 6명의 영웅들을 기리기 위해

전사자 이름을 딴 최첨단 유도탄고속함을 건조했는데

 

 

[윤영하급 유도탄고속함 그래픽 사진 및 무장체계]

 

 

440톤급 규모의 이 신형 유도탄 고속함은 최대속력 40노트(74km)에

 

최신형 레이다를 비롯한 전자전 장비 등의 지휘무장체계와 함께

76mm 및 40mm 함포와 함대함 미사일까지 갖추고 있단다.

 

 

[한상국함, 조천형함]

 

 

○ PCC-772 천안함

 

 

참수리고속정 357정 다음으로 천안함 관련 전시물들을 둘러본다.

 

 

[침몰 전의 천안함]

 

 

2010년 3월 26일 야간~ 백령도 근처 해상에서

우리해군 초계함인 PCC-772 천안함이 침몰된 사건이 발생되었다.

 

 

[천안함 침몰해역]

 

 

사고 당시 총 104명의 해군장병이 승선해 있던 천안함이 침몰되면서

아까운 장병 40명이 사망했고 6명이 실종되고 말았다.

 

 

[북한 어뢰에 대해 설명해주는 해군상병]

 

 

"1,2차 연평해전에서 패전한 북한이 복수를 위해 벼르고 있다가

잠수정을 몰래 침투시켜 "CHT-02D"어뢰를 발사 천안함을 격침시켰다고.."

 

안내하던 해군 상병이 자세하게 설명해준다.

 

 

 

 

전시관 안에는 천안함 침몰로 전사한 해군장병들의 명단과 함께

 

 

[천안함 전사자명단]

 

 

전사한 천안함 승조원들의 유품들이 전시되어 있고

 

 

[천안함 전사자 유품]

 

 

침몰한 천안함 수색과정에서 전사한 해군특수부대 UDT 대원

한주호 해군준위의 잠수장비들도 전시되어 있다.

 

 

[UDT대원 한주호준위가 사용했던 잠수장비]

 

 

서해수호관을 나와 이번에는 옥외에 전시된 천안함 실물 앞에 도착한다.

 

 

[인양전시되고 있는 천안함 실물]

 

 

무게가 1,200톤이나 되는 거대한 천안함 선체가 두 동강이로 잘려 있다.

 

 

 

 

선체 중앙부 밑에서 폭발한 어뢰의 폭발 압력으로 천안함이

폭파되면서 중앙 연돌구조물 부위도 분리되었는데

 

 

[천안함 폭파약도]

 

 

선체에서 분리된 연돌구조물 역시 천안함 옆에 별도로 전시되어 있다.

 

 

[천안함 연돌구조물]

 

 

거대한 함정을 한순간에 폭침시켜버린 어뢰의 폭발력이

얼마나 위력적인지 상상이 가질 않는다.

 

 

 

 

천안함 침몰사건 초기에 사고 원인이 뚜렷하게 밝혀지질 않아

어뢰설, 기뢰설, 내부폭발설, 피로파괴설, 좌초설 등 다양한 의혹이 제기되었으며

 

아직까지도 의혹을 제기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해군상병이 설명해준다.

 

 

[천안함에 대해 설명중인 해군상병]

 

 

그동안 한국의 민간·군인 합동조사단을 포함한

호주,미국,스웨덴,영국 등 4개국 전문가 24여명으로 구성된 합동조사단이

 

 

 

[천안함 절단면]

 

 

2010년 5월 천안함 침몰원인을 북한의 어뢰공격으로 결론 내렸다고 한다.

 

 

[천안함 절단면]

 

 

천안함 우현 구조물들에 많이 손상되어 보이는 것은

배가 침몰과정에서 해저에 오른쪽으로 넘어진 때문이라고 하며

 

 

[천안함 우현]

 

 

천안함이 수중암초에 부딪쳤다면 천안함 배 밑에 볼록 튀어 나와 있는

"소나"라는 수중음파탐지기 장비부터 먼저 파손이 되었을 것이라고

 

해군상병이 설명해 준다.

 

 

[천안함 수중 음파탐지기 "소나"]

 

 

1989년 건조된 초계함으로 그 길이가 88m에 너비는 10m로

최고속력 32노트에 76mm 함포까지 가지고 있었던 천안함~!

 

 

 

 

두 토막으로 절단된 절단면을 보니

사건 당시의 상황이 얼마나 처참했는지가 그대로 느껴진다.

 

 

[천안함 절단면]

 

 

해군상병 설명에 따르면 천안함 실종자 6명은

아마도 천안함 절단부 근처에 있었던 사병들일 것이라고 하며

 

 

 

 

천안함 가스터빈실 중앙부 수심 6∼9m에서의 어뢰폭발로

발생한 충격파와 버블효과가 이처럼 천안함을 절단시켰다고 한다.

 

 

 

 

북방한계선 NLL을 지키다가 산화한 46명의 천안함 해군장병들 ~

 

 

[천안함 절단면]

 

 

아마도 그분들은 북한 잠수정의 어뢰발사를 전혀 감지하지도 못한체 당한

엄청난 경계실책을 땅을 치며 통곡하고 아쉬워하고 있을 것이다.

 

 

[천안함 스크류]

 

 

나라를 위하다가 목숨을 바친 천안함 해군장병 여러분~!

대한민국 국민들은 결코 여러분들을 잊지 않을 것입니다.

 

 

 

 

참수리고속정 357정과 천안함에서 전사하신 영령들께 삼가 명복을 빕니다.

 

 

<끝>

 

'국내 및 해외여행기 > 2016년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성 융건릉[隆健陵] 산책  (0) 2016.05.26
경기도 종합사격장 권총사격  (0) 2016.05.23
태안 세계튤립축제 둘러보기  (4) 2016.04.21
현충원 수양벚꽃  (0) 2016.04.15
여의도 벚꽃  (0) 2016.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