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서울 등(燈) 축제"의 낮과 밤~!
서울 청계천 일대에서 17일 동안 열렸던
"2012 서울 등(燈)축제"가 지난 11월 18일 그 막을 내렸다.
그동안 이 등 축제에 250여만명이 다녀갔다고 하니
정말로 많은 사람들이 구경한 셈이다.
[공작새]
등(燈)축제는 문자 그대로 등을 환하게 밝히고 보는 축제라서
깜깜한 밤에 구경을 해야 제 맛이 나는 법이지만
[낮에 본 청계천 등축제장]
낮에 구경해보는 "등 축제장"도 색다른 느낌이 있을 것 같은 생각에
어느 휴일 오후~ 밝은 대낮에 "등 축제장"을 한번 찾아 보았다.
[용 모형의 등]
○ 테마 1, 한양도성
금년도 『등 축제』는 "한양도성"과 "조선정도 600년의 선조들 이야기"~
그리고 "백성들의 일상"과 "열린 서울" 등, 네 가지 테마로 구분된다.
테마 1은 등 축제장 입구에 전시된 "한양도성" 모형을 말한다.
[낮에 본 한양도성]
사대문과 사소문으로 이어진 서울성곽 안에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덕수궁 등, 4대궁이 섬세하게 재현되어 있는 모형이 바로 한양도성이다.
[한양도성의 밤]
이 모형은 우리의 한양도성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기를 기원하는 마음으로 제작 전시된 것이라고 한다.
[유등]
○ 테마 2, "조선정도 600여 년을 이끈 선조들의 이야기"
테마 1에 이어 "조선정도 600여 년을 이끌어온 선조들의 이야기"라는
테마 2가 화려하게 펼쳐진다.
[혼천의]
세종대왕께서 만드신 훈민정음과 물시계 자격루(自擊漏)도 보이고
하늘의 해와 달과 별의 움직임과 위치를 측정하여
천체의 운행과 위치를 측정했다는 "혼천의(渾天儀)"도 전시되어 있다.
훈련대장, 어영대장, 금위대장 등의 삼군영 모습과 함께
밤길을 나선 왕비의 어두운 길을 밝혔다는 "제등을 든 궁녀" 모습도 재현되어 있다.
[낮에 본 종묘제례악]
또한 조선시대 왕실 제사를 지낼 때 사용했다는 음악~
종묘제례악을 연주하고 있는 악사들의 모습도 눈에 들어온다.
[밤에 본 종묘제례악]
♬ 삘릴리~삘릴릴리~♪ 은은한 가락으로 울려 퍼지는 종묘제례악은
지난 2001년 유네스코 세계무형유산으로 등재되었다고 한다.
○ 테마 3, "조선시대 백성들의 일상"
[암행어사 박문수(낮)]
테마 2 다음으로
"조선시대 백성들의 일상"에 관한 세 번째 테마가 이어진다.
[암행어사 박문수(밤)]
지방 관리들의 비리와 백성들의 어려움을 살피기 위해
비밀리에 내려온 암행어사 박문수가 "암행어사 출도"를 외치고 있다.
조선 영조임금 시절~
억울한 사연이 있는 백성이라면 누구든지 북을 두드리도록 해서
왕에게 하소연하도록 했다는 신문고(申聞鼓) 모형을 지나니
[서당 모습(밤)]
"하늘 천, 따지, 검을 현, 누루 황~"을 외치며
천자문을 외우던 서당아이들과 훈장선생님의 모습이 나타난다.
[과거시험장으로 가는 선비들]
국보 제1호로 지정된 숭례문 앞을 지나 과거 시험장을 향해 걸어가는
선비들이 표정에는 꼭 장원급제를 하고야 말겠다는 굳은 의지가 엿보인다.
[장원급제 후의 금의환향, 삼일유가 행렬(낮)]
드디어 과거시험에서 장원급제를 이룬 선비 하나가
삼일 동안~ 비단옷에 어사화를 꽂은 모자를 쓰고
[장원급제 후의 금의환향, 삼일유가 행렬(밤)]
가족 친척들과 지인들을 찾아 금의환향하는 "삼일유가" 행렬도 보인다.
어사화를 머리에 꽂은 얼굴에는 자랑스러운 표정이 역력하다.
"남녀칠세부동석(男女七歲不同席)"을 강조하며
일곱 살만 되어도 남녀가 한자리에 앉으면 안된다고 했던 엄격한 조선시대~
[달밤의 밀회(밤)]
그래도 사랑하는 두 남녀는~ 휘영청 달 밝은 밤에 으슥한 곳에서 만나
밀회를 하는 모습도 그럴 듯 하게 재현되어 있다.
[전통혼례(낮)]
달밤의 밀회를 했던 그 청춘남녀가 드디어 혼례를 치른다.
족두리 쓴 신부와 사모관대를 갖춘 신랑은 인생 최고의 순간을 맞이하고 있다.
[전통혼례(밤)]
한쪽에서는 샅바를 멘 두 사람이 서로 부둥켜 잡고
상대방을 먼저 넘어뜨리기 위한 힘 겨루기, 씨름에 한참이다.
[씨름(낮)]
[씨름(밤)]
동구 밖에서는 동네 아이들이 방패연을 하늘에 띄워
누구 연이 더 높이 올라가는지를 견주며 연날리기 시합을 하고 있다.
[연날리기(낮)]
[연날리기(밤)]
담장 옆에서는 또 널빤지 하나를 괴어 놓고
양쪽 끝을 교대로 뛰어올랐다가 발을 구르는 널뛰기를 즐기고 있다.
[널뛰기(낮)]
[널뛰기(밤)]
개똥벌레가 날아다니는 한 여름 밤~ 마당에 펼쳐 놓은 멍석 위에서는
동네 아낙들이 모여 면화 솜이나 누에고치로 실을 만드는 물레 질에 열심이다.
[물레질(낮)]
[물레질(밤)]
바로 그 옆 베틀에서는 물레로 만든 실로
명주나 무명, 모시, 삼베 등의 베를 짜는 아낙의 모습도 보인다.
[베짜기와 물레질(밤)]
쿵~탕~! 쿵~탕~!
마을 어귀 대장간에서는 벌겋게 달군 무쇠를 두드리며
칼이나 수레바퀴, 낫과 쇠스랑 등의 연장을 만드느라 땀을 뻘뻘 흘리고 있다.
[대장간(낮)]
[대장간(밤)]
동네 사랑방 앞에는 이웃 마을에서 넘어온 등짐장수가
이런 저런 일용품들을 파느라 지친 다리를 잠시 쉬고 있다.
[등짐장수(낮)]
[등짐장수(밤)]
오늘은 읍내 장날~!! 말이나 소, 당나귀 등에 팔 물건들을 싣고
장터를 찾아가는 사람들로 동구 밖 길이 붐비고 있다.
어서 빨리 장에 가서 장터국밥과 대포한잔을 나누자는 표정이다.
[장터 가는 길(밤)]
마을 논에서는 물레방아를 닮은 "무자위"라는 물푸기 수레를 돌려
지금 수로의 물을 논으로 퍼 올리느라 한참이다.
[무자위(낮)]
누렁이를 끌고 나와 모내기 할 논을 써래질하는 농부 모습도 보인다.
[써래질하는 누렁이(낮)]
[써래질하는 누렁이(밤)]
봄 여름 내내 정성을 들여 가꾼 벼가 누렇게 고개 숙인 가을 날~
드디어 다 자란 벼를 베어 내 통나무에 내리치며 벼 타작을 시작한다.
하얀 쌀밥을 배불리 먹을 수 있다는 생각에 얼굴에 화색이 넘친다.
[벼 타작(낮)]
○ 테마 4 "열린 서울"
이제 테마 3은 끝이 나고 "열린 서울"이라는 주제의 테마 4가 시작된다.
네 번째 테마는 싱가포르, 일본, 필리핀 등, 외국에서 출품된 작품과
화천, 남원, 순천 등 10여개 지자체에서 만든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산천어]
일본에서 출품한 작품 중에는 "아오모리"현에서 매년 8월에 개최되는
타치 네푸타 축제에 사용되는 "네푸타"등도 전시되어 있다.
이 등은 중국 진나라 말기 항우가 전쟁터에서 적진으로 말을 던져
승리를 이끌어 냈다는 일화를 재현한 것이라고 한다.
[일본 출품, "네푸타" 모형]
또한 400년의 역사를 가진 일본 "아키타"현의
아키타 유자와 에도로 축제에서 소문 난 미인도도 나와 있다.
[일본 출품, 미인도]
기타 화려한 색감과 이국적인 느낌을 자랑하는 싱가포르의 파인애플 모형이랑
캐피즈라는 천연조개로 만들어진 필리핀 출품 랜턴 등도 눈에 띈다.
[산천어(낮)]
매년 열리는 화천 산천어축제를 알리는 화천군 출품, 산천어 등도
"산천어는 복(福)입니다.라는 글귀와 함께 줄지어 전시되어 있다.
[산천어(밤)]
12살의 나이에 조선 제6대왕에 올랐으나 숙부인 수양대군에게 왕위를 빼앗겼던 단종이
그의 부인 정순왕후를 반갑게 만나는 모습을 재현한 영월군 작품도 눈에 띈다.
[단종과 정순왕후]
공주군에서 출품한 고마나루 전설등도 보인다.
고마는 곰의 옛말로 고마나루는 공주 지역의 금강 일대와
무령왕릉 서쪽의 구릉지대를 일컫는 지명이라고 한다.
[곰 가족]
아이들의 우상 "뽀로로와 친구들"도 어김없이 등장해 있다.
꼬마펭귄 뽀로로와 아기공룡 크롱, 비버소녀 루피~
꼬마여우 에디, 우직한 북극곰 포비, 펭귄소녀 패티 모습이 보인다.
[뽀로로와 친구들]
뽀로로를 지나니 추억의 만화영화 주인공이었던 로보트 태권V가
두 주먹을 불끈 쥐고 태권도 무술을 펼치고 있는 마지막 모습이 나타난다.
"2012 등 축제" 전시 작품은 로보트 태권V가 있는 세운교 앞에서 끝나고 있다.
[로보트 태권 V]
한밤중에 보는 등축제와 한낮에 보는 등축제~!!
그 둘을 비교하면서 구경하니~ 보는 맛도 색다르고 재미 또한 삼삼하다.
<끝>
'국내 및 해외여행기 > 2012년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천 생태길, 철새길 걷기 (2) | 2013.03.19 |
---|---|
밀양 영남루(嶺南樓) 둘러보기 (0) | 2012.12.07 |
영양 대티골 외씨버선 길 (0) | 2012.11.12 |
2012년도 오산 에어파워데이(Air power day) 2편 (0) | 2012.11.07 |
2012년도 오산 에어파워데이(Air power day) 1편 (0) | 2012.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