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백 분주령에서 만난 야생화들
개별꽃
한방에서는 태자삼으로 부르는
석죽과(石竹科)에 속한 여러해살이 풀로 ~
5~6월에 잎 겨드랑이에서 꽃 대가 나와 한 개의 흰색 꽃을 피운다.
어린 잎과 어린 줄기는 식용하며, 위장약으로도 쓴다.
일명 미치광이풀 이라고도 하고 북한에서는 "들별꽃"이라고 부른다.
[개별꽃]
산괴불주머니
"괴불주머니"라는 것은 오색 비단 천을 이용하여
여러 모양의 수를 놓아 만든 부녀자나 아이들이
허리춤에 매달고 다니는 노리개를 말한다.
[산괴불주머니]
산에 피어오른 꽃이 그 노리개의 모습과 비슷하여
"산괴불주머니"꽃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꽃말은 "보물주머니"~
[산괴불주머니]
벌깨덩굴
꿀풀과(―科 Lami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진한 향기와 꿀 때문에 벌이 많이 모이고
잎이 들깻잎을 닮았다고 하여 "벌깨덩굴"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벌깨덩굴]
다른 이름으로 미한화(美漢花), 지마화(芝麻花),
벌개덩굴, 벌깨나물 이라고도 부른다.
[벌깨덩굴]
양지꽃
우리나라 어느 곳이든 양지바른 곳이면
어김없이 볼 수 있는 꽃이 양지꽃이다.
햇볕을 유독 좋아하는 꽃이라서 그런지
양지바른 곳이면 유독 화사하게 빛나는 모습을 하곤 한다.
장미과(薔薇科)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인
양지꽃의 꽃말은 "사랑스러움"이라고 한다.
[양지꽃]
구슬붕이
용담과에 속한 두해살이풀로
키와 크기가 작으며 봄에 꽃이 핀다.
구슬붕이는 키가 아주 작아서
다 자라도 새끼손가락 정도의 크기밖에는 되지 않는다.
[구슬붕이]
구슬붕이는 모습이 앙증맞은데다
연보랏빛이 운치가 있어 귀여우면서도 청초하다.
꽃말은 기쁜 소식이다.
구슬붕이란 이름은 가을에 열매가 맺히면
작은 구슬을 가득 담고 있는 봉(棒) 모양을 하고 있다는데서
유래가 되었다는 설이 있다.
※ 구슬붕이로도 부르고 구슬봉이로도 부른다.
[구슬붕이]
얼레지
백합과(百合科)에 속하는 다년생초인 얼레지꽃은 .
숲속의 나무그늘에서 자라는데,
나무에 잎이 나오기 전에 꽃이 피었다가
잎이 나올 무렵에 열매를 맺고 죽기 때문에
봄을 알리는 식물로 알려져 있으며
[얼레지]
이름도 이쁘고 꽃 색감도 이쁘며
햇볕은 받아 맘껏 말려 올라간 꽃잎의 모습에서
"잠자는 숲속의 미녀"라는 별명을 얻은 꽃이다.
[얼레지]
꽃말은 "질투"와 "바람난 여인"이다.
잎에 얼룩무늬 반점이 있다 하여 얼레지라고 불린다고 한다.
[얼레지]
현호색
현호색은 현호색과의 여러해살이 풀이다.
잎 모양에 따라 대나무 잎을 닮은 댓잎현호색이 있고
빗살무늬가 있는 빗살현호색~
[현호색]
잎이 작은 애기현호색등으로 나누기도 하지만
지금은 굳이 나누지 않는다.
꽃말은 '보물주머니', '비밀'이다.
[현호색]
홀아비바람꽃
홀아비바람꽃은 미나리아재비과의 다년생 야생초로서
꽃 대 하나에서 꽃 한 송만을 피운다고 하여
홀아비란 이름이 붙어 "홀아비바람꽃"이 되었다고 한다.
[홀아비 바람꽃]
피나물
노란 봄 나비 떼가 날아든 듯 숲속을 노랗게 물들이는
야생화 피나물꽃은 노랑매미꽃이라고도 부린다.
꺽으면 피 같은 빨간 진액이 나와 피나물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피나물]
나물이라는 말이 들어 있어 식용 나물로 착각하기 쉽지만
동의나물처럼 독성이 많은 식물로 먹으면 안되는 풀이다.
노랑나비가 무리 지어 군무를 추는 모습이라고 하여
꽃말이 "봄나비"라고 한다.
[피나물]
홀아비꽃대
훌아비꽃대과에 속하는 다년생초인 홀아비꽃대는
4~5월에 하얀색 꽃을 피운다.
[홀아비 꽃대]
비늘같은 잎 위로 솟은 꽃대에 이삭모양의 꽃이 달린다.
1개의 꽃 이삭이 촛대같이 자라서 홀아비꽃대라 한다.
꽃말은 "외로운사람"이다.
[홀아비 꽃대]
조팝나무
장미과(薔薇科 )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넓은 잎 산 조팝나무, 또는 조밥나무라고도 한다.
전국의 산기슭 양지바른 곳에서 자라며 좁쌀같은 하얀 꽃을 피운다.
[조팝나무]
둥글레
백합과(百合科 Lili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로
이른 봄 어린 잎과 뿌리줄기를 캐서
어린 잎은 물에 오래 담가 우려낸 다음 나물로 먹으며,
뿌리줄기는 삶거나 구워 먹거나 녹말을 만들기도 한다.
[둥글레]
노랑무늬 붓꽃
하얀 꽃잎 위에 노랑 무늬가 든 노랑무늬 붓꽃은
여러해살이 풀로 산지의 초원이나 삼림에서 자생한다.
[노랑무늬 붓꽃]
괭이눈
꽃이 마치 고양이 눈을 닮았다고 해서
고양이 눈, 즉 "괭이눈"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우리나라에는 애기괭이눈이 가장 흔하며
이밖에도 산 괭이눈 등 8종이 있다.
[괭이눈]
줄 딸기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으로
산 딸기 종류의 하나로서 가장 먼저 꽃을 피우는 덩굴딸기를 말한다.
[줄딸기]
당귀(當歸)
재미있는 전설을 간직하고 있는 약초다.
옛날 몸이 허약해 시집에서 내쫓긴 여자가 친정으로 돌아와
슬픔을 곱씹으며 계속 당귀를 먹고 살았는데
당귀를 먹은 여자가 몰라보게 건강을 회복,
시집으로 당당히 되돌아갔다고 하여
당귀(當歸)~ "당연히 돌아오다"는 뜻을 가진 약초가 되었다고 한다.
[당귀]
붉은 병꽃
인동과의 낙엽관목으로 팟꽃나무, 병꽃나무, 조선 금대화라고도 한다.
5월에 병 모양의 꽃이 노랗게 피었다가 점차 붉어진다.
[붉은 병꽃]
미나리 냉이
[미나리 냉이]
'국내 및 해외여행기 > 2013년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안 내변산 산책 (0) | 2013.06.11 |
---|---|
산정호수 둘레길 산책 (0) | 2013.06.05 |
"천상의 화원" 태백 분주령 트레킹 2편 (0) | 2013.05.27 |
"천상의 화원" 태백 분주령 트레킹 1 (0) | 2013.05.22 |
무주 북고사, 향로봉과 완주 상관마을 편백 숲 (0) | 2013.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