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대산 두로령 트렉킹1 [오대산 전나무 숲길~월정사]
토요일 자정을 넘어 잠실을 떠난 버스가 밤새 영동고속도로를 달려
오대산 주차장에 도착한 것은 아직 어둑어둑한 일요일 새벽 5시경이다.
[월정사 일주문 현판... 월정대가람]
비가 개일 것이라는 예보와는 달리 계속 흩뿌리는 가랑비를 맞으며
월정대가람(月精大伽藍)이라고 쓰여진 월정사일주문 아래로 들어선다.
[월정사 전나무 숲길 1]
속세의 모든 중생들이 편히 드나들 수 있도록
문도 달지 않는다는 일주문을 지나자
촉촉하게 젖어있는 월정사 전나무 숲길이 시원스럽게 펼쳐져 온다.
[월정사 전나무 숲길 안내도]
전나무 숲길에 아직 남아있는 어둑어둑한 어둠의 끝자락 위로
스물스물 밀려온 아침빛이
아름다운 천년의 숲길을 금방 환하게 밝혀준다.
[월정사 전나무 숲길 2]
사철 푸르른 에버그린트리(ever green tree), 키 큰 전나무들이
울울창창(鬱鬱蒼蒼) 빽빽하게 솟아오른 숲길은 월정사까지 이어진다.
수백 년 묵은 전나무의 숲 향기로 몸과 마음을 씻고
속세의 중생들이 얼마나 작은 존재인가를 깨달아가며
전나무 숲을 빠져나오니
[월정사 1]
깊은 산 속에 숨어있던 오대산 월정사가 배시시 눈앞으로 나타난다.
신라 선덕여왕 시절 "자장율사"라는 스님이 창건했다는 월정사(月精寺)~!
[월정사 2]
중국 당나라에 유학했던 "자장율사"가 만났던 문수보살이
일만 명의 문수보살이 있다고 한 오대산 자락에
터를 잡은 절이 월정사라고 하던가~!
[월정사 3]
출가한 스님의 마음으로 조심조심 월정사 경내로 들어선다.
어디선가 들려오는 은은한 독경소리 ~
[월정사 4]
속세의 온갖 소음들로부터 벗어나 있는 월정사엔
바삐 뛰는 수선스러운 발자국소리도 떠들썩한 이해타산의 다툼도 없이
티 없이 맑은 산사(山寺)의 고요함만 교교하게 흐른다.
[월정사 적광전]
월정사 경내 중앙에 자리하고 있는 적광전(寂光展) 바로 앞에는
국보 48호 "팔각구층석탑"이 우뚝 솟아있다.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다각형 돌판을 9층으로 쌓아 놓은 "팔각구층석탑"은
전형적인 신라양식인 불국사 석가탑과는 다른
고려초기의 석탑이라고 한다.
[월정사 보살상]
우리나라에 존재하는 가장 오래된 다각형 석탑이라는 "팔각구층석탑" 앞에는
무릎을 꿇는 모습의 보살상 하나가 석탑을 향해 공양을 드리고 있다.
[월정사 이정표]
월정사 경내를 조심스럽게 한 바퀴 돌아 나올 무렵 아침이 환하게 밝아온다.
[금강연 계곡 1]
상원사로 가기 위해 열목어가 산다는 금강연(金剛淵)에 걸린 금강교를 건넌다.
[금강연 계곡 2]
월정사에서 상원사로 이어진 446번 비포장 지방도로는
홍천군 명개리를 향해 굽이굽이 산 고개를 넘어가고 있다.
[상원사 가는 길 1]
명경지수가 흐르는 심산유곡의 정갈한 계곡과 나란히
하얀 운무가 드리워진 산자락을 휘돌며 산길을 걷는다.
[오대산 약도]
오늘 우리는 월정사에서 상원사까지 약 9킬로를 걸은 후
다시 상원사에서 해발 1천300m의
두로령 정상까지 6킬로를 걸어 올랐다가
[상원사 가는 길 2]
두로령 너머 내면분소 명개리까지의 11킬로 내리막길까지 합쳐
모두 26킬로의 연초록빛 산길을 걷게 될것이다.
상원사와 명개리 산길은 얼마나 아름다운 모습일까?
가보지 않은 길에 대한 호기심에 벌써부터 가슴이 콩닥거리기 시작한다.
<1편 끝>
'국내 및 해외여행기 > 2011년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남진 장흥 둘러보기 3편 (0) | 2012.01.12 |
---|---|
연천 재인폭포를 찾아 (0) | 2012.01.06 |
선자령(仙子嶺)을 넘어 보현사까지 (0) | 2011.12.27 |
인왕산(仁王山) 산책 (0) | 2011.12.25 |
나주 탐방 4 (마지막 편) (0) | 2011.12.24 |